VEXTOR
공기살균기
Air Sterilizer
VEXTOR
Air-Liquid Contact Disinfection System
Patented Technology | Green Energy Excellent Company Grand Prize | KTL Verification Completed | KEIT | National Research Project Partner Technology | NET (NewExcellentTechnology) Applied (under examination)
공기 중 부유 바이러스와 세균을 99.9% 제거하는 기-액 접촉식 살균기술,
대형 공간도 문제없이 제어하며 공기 중 바이러스의 농도를 끊임없이 억제하는 벡스터만의 놀라운 방역 프로세스를 직접 경험해보세요
코로나19 시대
마스크 없이도 안전하게 실내 활동을 이어갈 좋은 방법 없을까요?
벡스터는 공기 중 감염성 미세입자 및 에어로졸을 지속적으로 제거해 마치 환기가 잘 되는 실외처럼 감염률이 낮은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존 UV, 플라즈마 등의 방식과 달리 어떠한 공기 필터도 없어 기존 공기청정기 살균기 대비 훨씬 큰 풍량을 낼 수 있고,
그 결과 불특정 다수가 끊임없이 출입하는 대형 다중이용시설에서도 짧은 시간 내 대량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감염자에 의해 발생한 바이러스의 농도가 축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또한 WHO( 세계보건기구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법적으로 규정한 액체 살균법을 세계 최초의 자동화 공정으로 도입해 부유 바이러스 및 세균에 대해 지속적이고 우수한 저감효과를 언제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가연구과제 채택 및 2년 연속 성공 평가를 받아 감염병 차단 효과를 입증한 차세대 방역기술 벡스터를 지금 만나보세요!
공기 중 부유 바이러스와 세균을 99.9% 제거하는 기-액 접촉식 살균기술,
대형 공간도 문제없이 제어하며 공기 중 바이러스의 농도를 끊임없이 억제하는 벡스터만의 놀라운 방역 프로세스를 직접 경험해보세요!
대부분의 감염은 공기로 전파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1년, WHO에 이어 CDC도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 가지 감염경로 공기 · 비말 · 접촉 중 '공기’를 첫째로 꼽으며
공기전파 (airborne transmission)가 대량 감염의 주요 경로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습니다.
이는 비말 위주 전파의 기존 상식을 뒤집으며 큰 파장을 일으켰고 실제로 CDC는 관련 방역지침을 개정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5 마이크로미터 (5 ㎛ = 0.005mm) 이하 에어로졸에 포함된 바이러스는 사회적 거리 두기 기준인 2미터를 넘어 훨씬 멀리
전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많은 사람이 오가는 실내일수록 축적되는 바이러스 농도가 높아져 감염률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Scientific Brief: SARS CoV2 Transmission (May 7, 2021) / CDC
바이러스 공기 전파의 증명실험
2020년, 유럽 최고의 명문 대학 중 하나인 에라스무스 대학교(네덜란드) 메디컬 센터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SARS CoV 2)를 직접 활용한 동물실험으로 공기전파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진은 인간 폐의 생리학적 특성과 세포의 수용체 분포 측면에서 유사성이 매우 높은 족제비과 포유류 페럿을 활용해 바이러스의 공기전파 사실을 증명했고 이를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 아카이브 bioRxiv에 게재했습니다.
벡스터의 특징
신개념 바이러스 파괴 전략
• 국제적으로 인정된 액체 살균 방식 채택
• 공기 중 바이러스를 소독액 내 포집
• 포집된 바이러스의 RNA를 직접 파괴
無 필터 / 無 고강도 자외선 / 無 플라즈마
• 빠른 순환에 방해가 되는 공기 필터 불필요
• 기체와액체를 고속으로 접촉하는 특허기술 *,** 탑재
* The Continuous Fast Reactor including Multi Stage Impeller with Heat Exchanging Rotor and Stator (10-1928149)
** Air Sterilizer (10-2237686 / PCT/KR2020/017279)
다중이용시설에 최적화된 방역기술
•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다중이용시설 전용
• 감염성 미세입자 및 에어로졸 축적 강력 차단
• 다중이용시설 내 상당 수준의 감염 기회를 억제
바이러스성 감염병 유행에 선제 대응
• 코로나19 등 공기전파 성격의 바이러스 억제
• 공기 중 바이러스의 농도 상승을 원천적 차단
• 신종감염병 유행 시에도 상시 방역 인프라로 기능
벡스터의 기-액 접촉식 바이러스 포집 및 파괴 메커니즘
1
기체(공기)와 액체(소독액)가 최초로 만났지만 바이러스는 브라운 운동*을 할 만큼 매우 작아 소독 성분과 쉽게 접촉하진 않습니다.
즉 단순히 공기를 액체와 섞는 것만으로는 소독 물질에 대한 바이러스의 접촉률을 알 수 없습니다.
*Brownian Motion : 액체나 기체 속 미소(微小)입자들이 불규칙하게 운동하는 현상
2
벡스터는 특허등록된 강력한 교반기술로 바이러스에 수증기 입자를 충돌 및 결합시켜 전체적인 질량을 키우고, 좀 더 보편적인 물리법칙의 영향을 받게 만듭니다.
3
질량이 증가한 바이러스는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미립화된 소독액 입자와 관성 충돌하게 되고 그 안에 포집됩니다.
4
이렇게 포집된 바이러스는 어떠한 경우에도 탈출할 수 없으며 소독 성분에 의해 내부의 RNA까지 완전히 파괴되어 소멸합니다
벡스터
무엇이 다르길래 실시간 방역이 가능할까요?
UV 살균
• 입자 제거용 다단 필터 필요, 필터 성능에 크게 의존하며 노후 시 바이러스 제거 성능↓
• 필터 내구성이 약해 고속의 공기 순환 불가 → 넓은 공간을 제대로 순환시킬 수 없음
• 순환 효율이 낮으므로 실질적인 공기살균 및 방역 장치로 기능하기에는 한계가 큰 편
• UV는 (공기와 같은 유체가 아닌) 고정된 물건 등을 살균하는데 적합
플라즈마 살균
•OH-, O3의 실제적인 바이러스 접촉률은 매우 낮은 편
•감염자 호흡 시 분당 약 100,000 개의 바이러스 RNA 배출 (1㎥ 기준)
•이는 8k㎥ 공간 내 1mm 모래알이 1개 있는 것과 동일, 즉 1:1 접촉 기회가 매우 낮음
• 플라즈마 살균기술 역시 방역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불가능
기-액 접촉 살균 (벡스터)
• 실내공기 전체를 고속으로 흡입한 뒤 액체(소독액) 내 포집
• 고속 혼합 기술로 기체와 액체의 입자를 잘게 분쇄 → 바이러스는 소독액에 대한 표면적
최대화로 확정적 파괴
• 소독액 성분은 별도로 분리되어 제품 내로 회수되고, 청정공기만 배출
• 넓은 공간 내 감염성 에어로졸 및 미세입자를 연속적으로 제거
• 공기 중 바이러스 농도 상승을 지속적으로 차단하므로 실질적인 방역 기능을 수행
특허증
- 다단계 열교환 교반날개 방식의 연속식 고속 화학반응기 (등록번호: 제10-1928149호)
- 공기살균장치 (AIR STERILIZER) (등록번호: 제10-2237686호)
- 공기살균장치 (AIR STERILIZER) (출원번호: PCT/KR2020/017279) (※ PCT 국제출원)
- 씰링부가 불필요한 회전형 기액 혼합장치 (출원번호: 40-2022-0079777) (※ 22/05/09 출원)
기술 인•검증
- 부유바이러스제거성능 99.9% (60,000L 챔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부유세균제거성능 99.9% (60,000L 챔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미세먼지제거성능 83.9% (60,000L 챔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공기순환성능 (전산유체역학) 99% (에이치에스이코리아㈜)
수상 내역
- 제15회 대한민국 녹색에너지 우수기업 대상: 다중이용시설 부유 바이러스 차단기술(2021)
국가연구과제 수행내역
2020년
기-액 접촉 공기살균 방식의 실시간 방역 장치의 성능 검증용 실증 장치 제작
최종 평가: 성공
2021, 2022년
다중이용시설 실시간 방역을 위한 기-액 접촉식 공기살균 방역 장치의 성능 평가 및 사업화
최종 평가: 성공
미디어 (방송)
- YTN 사이언스 : 기-액 접촉식 공기살균기 개발기업 (2021)
- 매일경제 TV :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우리의 일상을 지키는 기술 (2022)
미디어 (신문)
시제품
※ 위 사진은 실제 시제품의 모습이며 발주 시 외관 등은 변경될 예정입니다.
※ 본 제품은 국가시험 기관 한국 산업 기술시험원 검증이 모두 완료되었으며, 2022년 내 환경 신기술 (NeT) 등록을 앞두고 있습니다.
※ 제조사: 주식회사 클린페엔지니어링
※ 컨설팅 매니저: 구윤석 이사 / fahdkoo@cleanfe.com / 032-562-5714